본문 바로가기
ISMS-P 인증 기준/보호대책 요구사항

ISMS-P 인증 기준, 특수 계정 및 권한 관리

by 세진파파 2025. 1. 24.
반응형

ISMS-P 인증 

2.5 인증 및 권한관리

2.5.1 사용자 계정 관리

2.5.2 사용자 식별

2.5.3 사용자 인증

2.5.4 비밀번호 관리

2.5.5 특수 계정 및 권한 관리

2.5.6 접근권한 검토

 

ISMS-P 간편인증(7의2)

2.4 인증 및 권한관리

2.4.1 사용자 계정 관리

2.4.2 사용자 식별

2.4.3 사용자 인증

2.4.4 비밀번호 관리

 

ISMS-P 간편인증(7의3) 

2.5 인증 및 권한관리

2.5.1 사용자 계정 관리

2.5.2 사용자 식별

2.5.3 사용자 인증

2.5.4 비밀번호 관리

(7의2) 대상: 소기업, 정보통신서비스 부문 매출액 300억 미만의 중기업
(7의3) 대상: 주요 정보통신설비를 보유하지 않은 정보통신서비스 부문 매출액 300억 이상의 중기업

 

 

개요

인증기준

정보시스템 관리, 개인정보 및 중요정보 관리 등 특수 목적을 위하여 사용하는 계정 및 권한은 최소한으로 부여하고 별도로 식별하여 통제하여야 한다.

 

주요확인사항

* 관리자 권한 등 특수 권한은 최소한의 인원에게만 부여될 수 있도록 공식적인 권한 신청 및 승인 절차를 수립·이행하고 있는가?
* 특수 목적을 위하여 부여한 계정 및 권한을 식별하고 별도 목록으로 관리하는 등 통제절차를 수립·이행하고 있는가?

 

관련법규

* 개인정보 보호법 제29조(안전조치의무)
*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제5조(접근 권한의 관리)

 

세부 설명

1. 특수 권한 최소한으로 부여

관리자 등 특수권한은 최소한의 인원에게만 부여될 수 있도록 공식적인 권한 신청 및 승인 절차를 수립· 이행하여야 한다

* 정보시스템 관리, 개인정보 및 중요정보 관리 등 특수목적을 위한 계정 및 권한 유형 정의
* 특수 계정 및 권한이 필요한 경우 공식적인 절차에 따라 신청 및 승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ʻ특수 계정·권한 발급·변경·해지 절차ʼ를 수립·이행
* 특수 계정·권한을 최소한의 업무 수행자에게만 부여할 수 있도록 일반 사용자 계정·권한 발급 절차보다 엄격한 기준 적용(임원 또는 보안책임자 승인 등


2. 특수 목적 권한 별도 관리
특수 목적을 위하여 부여한 계정 및 권한을 식별하고 별도의 목록으로 관리하는 등 통제절차를 수립·이행하여야 한다

* 특수권한자 목록 작성·관리
* 특수권한자에 대해서는 예외조치 최소화, 모니터링 강화 등의 통제절차 수립·이행
*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등 외부자에게 부여하는 특수권한은 필요시에만 생성, 업무 종료 후에는 즉시 삭제 또는 정지하는 절차를 적용
* 특수권한자 현황을 정기적으로 검토하여 목록 현행화

증거자료

* 특수권한 관련 지침
* 특수권한 신청·승인 내역
* 특수권한자 목록
* 특수권한 검토 내용

결함사례

* 정보시스템 및 개인정보처리시스템의 관리자 및 특수권한 부여 등의 승인 이력이 시스템이나 문서상으로 확인이 되지 않거나, 승인 이력과 특수권한 내역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경우
* 내부 규정에는 개인정보 관리자 및 특수권한 보유자를 목록으로 작성·관리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를 작성·관리하고 있지 않거나, 보안시스템 관리자 등 일부 특수권한이 식별· 관리되지 않는 경우
* 정보시스템 및 개인정보처리시스템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분기 1회에 방문하는 유지보수용 특수 계정이 사용기간 제한없이 상시로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
* 관리자 및 특수권한의 사용 여부를 정기적으로 검토하지 않아 일부 특수권한자의 업무가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관리자 및 특수권한을 계속 보유하고 있는 경우

참고 문헌

*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준 안내서(KISA, 2023.11.23)

ISMS-P 인증기준 안내서(2023.11.23).pdf
8.11MB

반응형